국민연금 안심통장 개설 가기

 

 

 

노후를 지키는 마지막 방어선인 국민연금조차도 일반 계좌로 받으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월 최대185만원 한도 까지 지켜주는 안심통장 바로 개설하세요.


정부에서 지정한 은행의 필요서류, 이체 수수료 혜택을 확인하세요.

아래 목록의 은행에서 안심통장 빠르게 개설 하세요.


국민은행 >  신한은행 >   하나은행 >

농협은행 >  우리은행 >   기업은행 >

우체국    >  제일은행 >   




국민연금 안심통장 개설 방법 및 절차

 


국민연금 안심통장은 시중은행, 지방은행, 상호금융에서 개설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뱅크나 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에서는 개설 불가

안심통장 개설 절차

1. 신분증 지참 후 가까운 22개 금융기관 창구 방문

2. 안심통장 개설 요청 및 계좌 개설

3. 국민연금공단에 새 계좌 등록 (방문, 홈페이지, 앱, 고객센터 1355)


안심통장 개설 가기

은행마다 필요한 서류, 이체 수수료 혜택이 다릅니다.

아래 목록의 은행에서 안심통장 개설을 확인하세요.


국민은행 >  신한은행 >   하나은행 >

농협은행 >  우리은행 >   기업은행 >

우체국    >  제일은행 >   




국민연금 안심통장 계좌 등록 방법

 

은행에서 개설한 안심통장은 국민연금공단에 등록해야 실제 연금이 안전하게 입금됩니다.


등록 방법

설명

① 지사 방문

신분증과 통장 지참 후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에 방문

② 홈페이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nps.or.kr) → 민원신청 → 계좌변경

③ 모바일 앱

'내 곁에 국민연금' 앱 → 로그인 후 수급계좌 변경 메뉴 이용

④ 고객센터

국민연금 콜센터 1355 전화 후 안내에 따라 등록



국민연금 안심통장 개설 필요 서류 안내

은행마다 필요 서류가 다를 수 있습니다.


구분

제출 서류

비고

본인 직접 방문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반드시 원본 지참

대리인 신청 시

본인 및 대리인 신분증, 위임장, 가족관계증명서 등

위임장 서식은 은행 또는 국민연금공단 제공

기타

국민연금 수급자 확인서류 (필요 시)

은행에 따라 추가 요구 가능



국민연금 안심통장 홈페이지 가기


안심통장을 활용하면 매달 185만 원까지 법적 보호를 받으며 연금을 수령할 수 있어 채무 문제, 돌발 상황에서도 불안 없이 노후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가까운 은행을 방문해 ‘국민연금 안심통장’을 개설하고,
소중한 당신의 연금을 안전하게 지키세요.